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한능검무료해설5

제55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21~30번): 규장각~흥선 대원군 집권기 에디터파닭 제55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21~30번) 안녕하세요. 수험서 편집자 에디터파닭입니다. 한능검 손글씨 해설 바로 이어 갈게요. 21번 - 조선의 규장각 정답 선지: 5.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초계문신제를 주관하였다. 22번 - 훈련도감 정답 선지: 4. 포수, 사수, 살수의 삼수병으로 편제되었다. 23번 - 임진왜란의 전개 과정 정답 선지: 4. 송상현이 동래성 전투에서 항전하였다. 24번 - 조선 영조의 업적 정답 선지: 2.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기 위한 탕평비를 건립하였다. 25번 - 김정희의 금석문 연구 정답 선지: 2. 역대 명필을 연구하여 추사체를 창안하였다. 26번 - 조선의 대일본 교류 정답 선지: 1. ㄱ, ㄴ 27번 - 보은 법주사 팔상전 정답 선지: 1. 법주사.. 2022. 10. 9.
제54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21~30번): 조선 시대 사화~척화비 건립 에디터파닭 제54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21~30번) 안녕하세요. 수험서 편집자 에디터 파닭입니다. 벌써 10월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올해도 이렇게 빠르게 시간이 흘러가네요. 한능검 시험 준비 잘하고 계신가요? ​ 처음부터 무턱대고 기출문제를 푸는 것보다는 개념을 반드시 한 바퀴라도 돌린 후에 어떤 주제가 시험에 나오는지 파악한 후 기출 문제를 푸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54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해설 시작합니다. 보시고 오탈자나 오류는 댓글 주시면 확인하는 대로 빠르게 수정해서 올릴게요. ​ 좋아요나 응원 댓글은 육아에 지친 파닭이에게 힘을 줍니다! ​21번 - 폐비 윤씨 사사 사건과 대윤과 소윤의 대립 사이 시기에 발생한 사실 정답선지: 3. 신진 인사를 등용하기 위해 현량과가 시행.. 2022. 9. 26.
제53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20번): 고려의 어사대~계유정난 에디터파닭 제53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20번) 안녕하세요. 수험서 편집자 에디터파닭입니다.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는 고려 시대 파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파닭이와 함께 열공한다면 시험장에서 어떤 문제라도 쉽게 척척 풀어나갈 수 있을 거예요. 그럼 함께 가볼까요~! 11번 - 고려의 어사대 정답 선지: 5. 소속 관원이 낭사와 함께 서경권을 행사하였다. => 시정 논박, 풍속 교정, 규찰 및 탄핵 업무를 담당한 기구는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인 어사대입니다. 정답은 5번, 어사대의 관원과 중서문하성의 낭사는 대성(대간)이라 하여 서경권을 행사하였는데요. 서경권이란 모든 관리의 임명 동의권을 말합니다. 대성(대간)은 또한 국왕의 과오와 비행을 비판하는 권한인 간쟁, 잘못된 왕명을 거부할 수 있.. 2022. 9. 20.
제52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21~30번): 병자호란~영선사 에디터파닭 제52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21~30번) 안녕하세요. 에디터파닭입니다.🐣🐣🐣 제52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 이어서 계속됩니다! 가장 출제 비중이 높은 조선 시대 파트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21번 - 인조반정과 병자호란의 전개 과정 정답 선지: 2. (가)-(다)-(나) ​=> (가)는 서인과 남인에 의하여 광해군이 쫓겨나고 인조가 왕으로 추대된 인조반정입니다. (나)는 병자호란의 결과 인조가 삼전도에서 청에게 항복하며 삼배구고두례의 굴욕을 당하는 상황이며, (다)는 병자호란 도중 김상용이 강화로 피난하는 상황입니다. ​(가) 인조반정, (다) 병자호란 도중, (나) 병자호란 결과 순으로 전개되었습니다. ​여기서 꿀팁 하나! 특히 김상용은 단독 선지로도 출제되는 인물인데요. "김.. 2022. 9. 14.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구석기~고려 성종의 정책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안녕하세요. 한국사 해설을 쓰는 에디터파닭이에요. 제50회 한능검 심화 해설, 바로 시작합니다. ​1번 - 구석기 시대 생활 모습 정답 선지: 2.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 공주 석장리는 대표적인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며, 찍개와 주먹도끼는 구석기 시대에 만들어 사용한 뗀석기입니다. 따라서 구석기 시대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을 찾아야 하는데요. 정답은 2번,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동굴이나 바위그늘에 거주하거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살았습니다. 2번 - 고조선의 특징 정답 선지: 5. ㄷ, ㄹ => 사료에서 '상', '장군' 등은 고조선의 관직명이며, 우거왕은 고조선의 마지막 왕입니다. 고조선은 기원전 108년에 우거왕이 살해되고 왕검.. 2022. 9. 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