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기출문제 해설/한능검 심화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구석기~고려 성종의 정책

by 에디터파닭 2022. 9. 2.
반응형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안녕하세요. 한국사 해설을 쓰는 에디터파닭이에요.

제50회 한능검 심화 해설, 바로 시작합니다.

​1번 - 구석기 시대 생활 모습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1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2.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 공주 석장리는 대표적인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며, 찍개와 주먹도끼는 구석기 시대에 만들어 사용한 뗀석기입니다. 따라서 구석기 시대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을 찾아야 하는데요. 정답은 2번,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동굴이나 바위그늘에 거주하거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살았습니다. 

 

 

 

 

 

2번 - 고조선의 특징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2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5. ㄷ, ㄹ

=> 사료에서 '상', '장군' 등은 고조선의 관직명이며, 우거왕은 고조선의 마지막 왕입니다. 고조선은 기원전 108년에 우거왕이 살해되고 왕검성이 함락되며 멸망을 맞이하였죠. 따라서 (가) 나라는 고조선입니다.

ㄷ. 고조선은 철기 문화를 수용하여 철제 무기를 제작하였고, 이로써 우세해진 무력을 바탕으로 정복 전쟁을 전개하여 진번과 임둔을 복속시켰습니다. 

ㄹ. 고조선은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8조법이라고도 불리는 범금 8조를 두었습니다. 범금 8조 중에서 오늘날 3개 조항만 전하고 있습니다. 

 

 

 

 

3번 - 동예의 풍습과 특산물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3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3. 읍군이나 삼로라는 지배자가 있었다.

=> 다른 부족의 영역을 함부로 침범하지 않으며 침범할 경우 노비, 소, 말 등으로 배상하는 책화는 동예의 풍습입니다. 또한 단궁(활), 반어피(바다표범의 가죽), 과하마(키가 작은 말)는 동예를 대표하는 특산물이죠.

정답은 3번, 군장 국가 단계에 머무른 동예에는 왕이 없었으며 읍군이나 삼로라는 군장이 자기 부족을 다스렸습니다.   

 

 

 

 

 

4번 - 통일 신라 신문왕과 만파식적 설화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4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5. 김흠돌을 비롯한 진골 귀족 세력을 숙청하였다.

=> 나라의 번영 및 평화에 대한 염원과 왕실의 권위 강화를 상징하는 만파식적 설화는 통일 신라 신문왕과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또한 사료의 '감은사'는 통일 신라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을 기리기 위하여 설립한 절의 이름이죠.

신문왕은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고 이 일을 계기로 진골 귀족 세력을 숙청함으로써 왕권을 강화하였습니다.  

 

 

 

 

 

7세기 고구려 장수왕과 보장왕 사이 시기의 사실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5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2.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수의 군대를 물리쳤다.

=> (가)의 '거련'은 고구려 장수왕으로, 제시된 상황은 5세기에 고구려 전성기를 이끈 장수왕이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함락시키고 개로왕을 살해하는 상황입니다. 

(나)는 7세기에 고구려 보장왕이 안시성에서 당에 맞서 싸우는 상황입니다(안시성 전투, 645). 당은 642년에 일어난 연개소문의 정변을 구실로 고구려를 침입하여 안시성을 공격하였으나, 안시성의 성주와 백성들이 힘을 합쳐 당군을 막아냈습니다. 

(가)와 (나) 사이 시기에 일어난 일로 알맞은 것은 2번, 612년 고구려의 을지문덕은 지금의 청천강인 살수에서 수의 우중문과 우문술이 이끄는 30만 대군을 물리쳤습니다(살수 대첩).

 

 

 

 

 

6번 - 김해 금관가야의 건국과 특징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6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5.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 등에 수출하였다.

=> 김수로왕은 금관가야의 시조이며, 김해 대성동은 금관가야를 대표하는 유적입니다. 금관가야는 철 생산량이 많아 덩이쇠를 화폐처럼 사용하였고, 철을 낙랑과 왜 등에 수출하였습니다. 

 

 

 

 

 

7번 - 백제 성왕과 신라 진흥왕의 싸움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7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5. 진흥왕과 연합하여 한강 하류 지역을 되찾았다.

=> 부여 능산리는 백제 사비 시기를 대표하는 유적입니다. 사비로 천도한 백제의 왕은 성왕으로, 성왕은 신라 진흥왕과 연합하여 한강 하류를 일시적으로 수복하였으나, 진흥왕의 배신으로 한강 하류 유역을 빼앗기고 말았죠. 이에 성왕은 신라를 공격하던 중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습니다. 

 

 

 

 

 

8번 - 발해의 특징과 중앙 행정 조직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8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2. 정당성의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 (가) 국가는 발해로, 698년 동모산에 도읍하여 나라를 세운 인물은 발해 고왕인 대조영이며 당의 산둥반도 등주를 공격한 인물은 발해 무왕입니다. 마지막으로 일본에 국서를 보내 스스로 고려 국왕이라 칭한 인물은 발해 문왕이죠.

정답은 2번, 정당성은 발해의 중앙 행정 조직인 3성 중 하나로, 발해는 정당성을 관장하는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습니다. 

 

 

 

 

 

9번 - 후백제 견훤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9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2. ㄱ, ㄷ

=> 상주 출신으로서 892년에 무진주(광주)를 점령하고 스스로 왕을 칭하였으며, 900년에는 완산주(전주)를 도읍으로 삼아 나라를 세운 인물은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입니다. 

견훤은 중국의 후당과 오월에 사신을 파견하여 외교 관계를 맺었고, 신라의 수도 금성을 공격하여 신라 경애왕을 살해하였습니다. 

 

 

 

 

 

10번 - 고려 성종과 최승로의 시무 28조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10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5.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 전국 주요 지역에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한 왕은 고려 성종입니다. 성종은 최승로가 건의한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통치 체제를 정비한 왕인데요, 12목 설치 또한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수용한 결과였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