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에디터파닭68

제59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구석기~고려 정치사 에디터파닭 제59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1~10번) 제59회 심화 1번 - 구석기 시대 생활 모습 자료분석: 주먹도끼와 찍개는 구석기 시대에 처음 만들어 사용한 뗀석기입니다. 정답해설: 2.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동굴이나 강가 막집, 또는 바위 그늘에 거주하였습니다. 오답해설: 1번, 철제 무기로 정복 활동을 벌였다. => 초기 철기 시대에는 철제 무기가 보급되며 정복 전쟁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쟁기와 쇠스랑 같은 철제 농기구가 보급되어 농업 생산력도 크게 향상되었죠. 3번, 명도전을 이용하여 중국과 교역하였다. => 초기 철기 시대에는 명도전, 오수전, 반량전, 화천 등의 화폐를 이용하여 중국과 활발히 교류하였습니다. 4번, 반달 돌칼.. 2022. 11. 29.
2022년도 제6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정답 가답안 공유 안녕하세요! 수험서 편집자 에디터 파닭입니다. 오늘 시행된 제6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의 가답안을 공유해 드립니다. 파닭이와 함께 열심히 한능검 시험 준비하신 분들이 고득점으로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정답 바로 확인해 볼게요. 2022. 10. 22.
2022년도 제6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정답 가답안 공유 안녕하세요! 수험서 편집자 에디터 파닭입니다. 오늘 시행된 제6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시험의 가답안을 공유해 드립니다. 파닭이와 함께 열심히 한능검 시험 준비하신 분들이 고득점으로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정답 바로 확인해 볼게요. 2022. 10. 22.
제58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41~50번): 진보당 사건~독도 에디터파닭 제58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41~50번) ​안녕하세요! 편집자 에디터파닭입니다. 이번 58회 한능검 심화 해설은 해설을 작성하는 것도, 포스팅을 올리는 것도 다른 회차보다 더 오래 걸렸어요. 컨디션이 괜찮아서 더 집중해서 쓰기도 했고 낯선 선지나 사료 해설이 출제될 때면 원문 사료를 뒤지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기도 했고요. 제가 노력한 만큼 이 포스팅이 많은 분들에게 큰 힘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마지막 문제까지 파이팅입니다. ​ ​ ​ 41번 - 제3대 대통령 선거(1956) ​ 정답 선지: 2. 평화 통일론을 내세우던 진보당이 해체되었다. ​정답 해설: 여당인 자유당의 대통령과 부통령 후보로 이승만과 이기붕, 야당인 민주당의 대통령과 부통령 후보로 신익희와 장면이 출마.. 2022. 10. 20.
제58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31~40번): 정미7조약~반공포로 석방 에디터파닭 제58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31~40번) 안녕하세요. 에디터파닭입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긴 가슴 아픈 근대사가 이어집니다. 열공하러 가 볼까요? ​ ​ 31번 - 정미 7조약와 대한 제국 군대 해산 정답 선지: 1. 정미 7조약이 체결되었다. 정답 해설: 1907년에 체결된 정미 7조약(한일 신협약)의 부수 각서에 따라 대한 제국 군대가 해산되자, 이에 분개한 시위대 제1연대 제1대대장 박승환은 권총 자결을 하였습니다. 오답해설: 2번, 105인 사건은 신민회가 해체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3번, 데라우치는 1910년 한국 병합 조약 체결 결과 초대 총독으로 부임하여 최고 통치자가 되었습니다. ​4번, 1909년에 체결된 기유각서는 대한 제국의 사법권과 감옥 관리.. 2022. 10. 20.
제58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21~30번): 훈련도감~경부선 개통 에디터파닭 제58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11~20번) 안녕하세요. 블로그에 수험서 편집 이야기는 어느샌가 자취를 감추었지만 여전히 수험서 편집자로 일하는 에디터 파닭입니다. 에디터 파닭이 손으로 쓴 한능검 해설, 바로 시작할게요. 열공 준비 온! ​ ​ ​ 21번 - 훈련도감 정답 선지: 4. 포수, 살수, 사수의 삼수병으로 편제되었다.​ 정답 해설: 임진왜란 도중 류성룡의 건의로 편성된 부대는 훈련도감입니다. 훈련도감은 포수, 살수, 사수의 삼수병으로 구성되었으며 급료를 받는 상비군이 주축을 이루었죠. 오답해설: 1번, 용호군과 함께 2군으로 불린 것은 고려 시대 국왕 친위 부대인 응양군입니다. 2군은 6위와 함께 고려의 중앙군을 구성하였죠. ​2번, 진도에서 용장성(용장산성)을 쌓고 .. 2022. 10. 2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