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파닭한국사11 제55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31~40번): 임오군란~의열단 에디터파닭 제55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31~40번) 안녕하세요. 에디터파닭입니다. 저와 함께 격동의 근대사 속으로 떠나 볼까요? 31번 - 임오군란 정답 선지: 5. 일본 공사관에 경비병이 주둔하는 계기가 되었다. 32번 - 거문도 사건(1885) 정답 선지: 3. (다) 갑신정변(1884) ~ 삼국 간섭(1895) 33번 - 제2차 갑오개혁의 개혁 내용 정답 선지: 5. 교육입국 조서 반포 34번 - 대한 제국 시기의 사실 정답 선지: 1. 간도 관리사로 임명되는 관료 35번 - 시기별 항일 의병 운동의 전개 순서 정답 선지: 3. (나) 을미의병 - (가) 을사의병 - (다) 정미의병 36번 - 대한매일신보의 활동 정답 선지: 4. 국채 보상 운동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37번 - 러일 전쟁 .. 2022. 10. 9. 제55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21~30번): 규장각~흥선 대원군 집권기 에디터파닭 제55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21~30번) 안녕하세요. 수험서 편집자 에디터파닭입니다. 한능검 손글씨 해설 바로 이어 갈게요. 21번 - 조선의 규장각 정답 선지: 5.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초계문신제를 주관하였다. 22번 - 훈련도감 정답 선지: 4. 포수, 사수, 살수의 삼수병으로 편제되었다. 23번 - 임진왜란의 전개 과정 정답 선지: 4. 송상현이 동래성 전투에서 항전하였다. 24번 - 조선 영조의 업적 정답 선지: 2.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기 위한 탕평비를 건립하였다. 25번 - 김정희의 금석문 연구 정답 선지: 2. 역대 명필을 연구하여 추사체를 창안하였다. 26번 - 조선의 대일본 교류 정답 선지: 1. ㄱ, ㄴ 27번 - 보은 법주사 팔상전 정답 선지: 1. 법주사.. 2022. 10. 9. 제55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구석기~태조 왕건 에디터파닭 제55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안녕하세요. 제5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해설을 시작하는 에디터파닭이에요. 열심히 공부한 만큼 이번 시험 직전 학습 마무리도 잘하시고, 원하는 성적 한번에 척! 하고 받기를 파닭이가 응원합니다. 파이팅! 1번 - 구석기 시대 생활 모습 정답 선지: 4.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 거주하였다. 정답해설: 충남 공주 석장리는 구석기 시대 대표 유적지로서 이곳에서 주먹 도끼와 찍개 등 구석기 유물이 발견되었습니다. 구석기 전기부터 후기까지 12개 문화층이 발견되어 구석기 시대 연구의 표본이 된 곳이죠. 사냥과 채집을 하며 이동 생활을 하였던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 거주하거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거주하였습니.. 2022. 9. 29. 제54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31~40번): 신미양요~연해주 에디터파닭 제54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31~40번) 안녕하세요. 에디터파닭입니다. 제54회 한능검 해설, 쭉쭉 이어가 볼까요? 31번 - 신미양요(1871) 정답선지 2.(나) 오페르트 도굴 사건(1868) ~ 강화도 조약(1876) 정답해설: 어재연의 부대가 광성보에서 미국 로저스 제독이 이끄는 미군 함대에 맞서 싸운 사건은 1871년에 일어난 신미양요입니다. 신미양요는 1866년에 일어난 제너럴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일어났죠. 1860년대~1870년대는 미국뿐만 아니라 프랑스 등 열강들이 침략적으로 접근해 오던 시기였습니다. 32번 - 제1차 수신사 김기수 파견부터 조사 시찰단 파견 사이 시기에 일어난 사실 정답선지 2. 통리기무아문과 12사가 설치되었다. 정답해설: (가).. 2022. 9. 27. 제54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20번): 고려 성종~조선의 향교 에디터파닭 제54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20번) 안녕하세요. 한능검 시험 준비는 에디터파닭과 함께! 54회 심화 해설 바로 이어 갈게요! 11번 - 고려 성종 때 12목 설치와 지방관 파견 정답선지: 5. 전국의 주요 지역에 12목을 설치하여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정답해설: 최승로가 시무 28조를 올린 왕은 고려 성종입니다. 성종은 고려 초기 국왕 중 왕건, 광종만큼이나 출제 비중이 높은 왕으로 수많은 업적을 이루었습니다. 선지로 제시된 것처럼 성종은 전국 주요 지역에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는데요, 이는 최승로의 시무 28조의 제7조(외관 파견)를 수용한 결과입니다. 성종은 또한 시무 28를 수용하여 연등회와 팔관회 등 불교 행사를 축소하였고, 유교 정치 이념을 채택하여 .. 2022. 9. 25. 제54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신석기~견훤 에디터파닭 제54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안녕하세요 에디터파닭입니다. 54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을 준비해 돌아왔어요. 학습하시며 해설에 오탈자나 틀린 내용을 발견하셨다면 댓글 주세요! 바로바로 수정하겠습니다. 시험 잘 보세요! 1번 - 신석기 시대와 가락바퀴 정답선지: 1.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실을 뽑았다. => ‘빗살무늬 토기, 갈돌, 갈판’은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이며, 신석기 시대에는 농경이 시작되며 정착 생활을 하였습니다. 신석기 시대에 해당하는 선지는 1번으로 ‘가락바퀴’는 신석기 시대에 실을 뽑는 데 사용한 도구입니다. 2번 - 동예의 책화 풍습 정답선지: 3. 읍락 간의 경계룰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 ‘후, 읍군, 삼로’가 있고 10월에 .. 2022. 9. 24.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