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기출문제 해설/한능검 심화

제53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구석기~고려 광종

by 에디터파닭 2022. 9. 20.
반응형

에디터파닭 제53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53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 에디터파닭이 바로 시작합니다. 

한번에 고득점 합격 가즈아~!

 

1번 - 구석기 시대 생활모습

 

에디터파닭 제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1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5.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 찍개나 찌르개 같은 뗀석기를 처음 사용한 시대는 구석기 시대이며, 제시된 사진은 구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뗀석기인 주먹 도끼입니다. 찍개, 찌르개, 주먹도끼 모두 사냥 도구로 사용되었죠.

또한 경기 연천 전곡리는 충남 공주 석장리,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과 함께 구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입니다.  

정답은 5번,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주로 동굴이나 바위그늘, 또는 강가의 막집에 거주하였습니다. 

 

 

 

 

2번 - 삼한의 특징

 

에디터파닭 제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2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1. 신지, 읍차 등의 지배자가 있었다.

=> 천군과 소도가 존재하였으며 5월에 수릿날, 10월에 계절제 등의 제천 행사를 열었던 국가는 삼한입니다. 삼한은 제정 분리 국가로서 제사장인 천구과는 별도로 신지와 읍차 등의 지배자, 즉 군장이 존재하였습니다. 

 

 

 

 

 

3번 - 4~7세기 시대별 고구려에서 일어난 사건 구분하기

 

에디터파닭 제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3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4. (나) - (다) - (가)

=> (가) 7세기 고구려 영양왕 때 아단성(아차산성) 전투에서 온달이 전사하는 상황입니다. 온달은 신라에 빼앗긴 영토를 되찾고자 아단성에서 전투에 참여하였으나 결국 전사하였죠. 시기를 더 정확하게 말하면 아단성 전투는 590년에 발발하였고, 영양왕의 재위 기간은 590년부터 618년까지입니다. 

(나) 4세기 백제 근초고왕 때 영토 확장을 위해 고구려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구려 고국원왕을 전사시키는 상황입니다(평양성 전투). 손글씨 해설애서 백제 근초고왕이 고구려 근초고왕으로 오타가 났네요^^ 

(다) 5세기 고구려 장수왕 때 백제의 도읍 한성을 공격 및 함락하고 백제 개로왕을 죽이는 상황입니다. '부여경'이 바로 백제 개로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번, (나) 4세기 평양성 전투 - (다) 5세기 한성 함락 - (가) 6세기 말 아단성 전투가 되겠습니다. 

 

 

 

 

 

4번 - 백제 무령왕 때 사실로 옳은 것 찾기

 

에디터파닭 제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4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2. 중국 남조의 양과 교류하였다.

=> 지방 통제를 위해 지방에 22담로를 설치하고 왕족을 파견하였으며, 무덤 내부에서 지석이 출토되어 피장자, 즉 무덤 주인과 축조 연대가 유일하게 확인된 백제 왕릉의 주인공은 백제 무령왕입니다. 

공주에 여행을 가면 공주 송산리 고분군을 꼭 들러 보세요. 무령왕릉이 실감나게 재현되어 볼거리가 많답니다.

정답은 2번, 무령왕은 중국 남조의 양과 활발히 교류하였습니다. 무령왕릉은 벽돌로 축조된 벽돌무덤인데요, 이 양식 또한 중국 남조 양의 영향을 받아 축조되었습니다. 

 

 

 

 

 

5번 - 나당 동맹 체결 전후의 사건

 

에디터파닭 제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5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2. 신라가 당과 군사 동맹을 체결하였다.

=> (가)는 신라의 김춘추가 백제 의자왕의 대야성 공격으로 딸과 사위를 잃자, 642년 고구려에 도움을 요청하러 간 상황입니다. 그러나 고구려 보장왕은 신라가 점령한 한강 유역의 땅인 마목현과 죽령을 요구하며 김춘추의 구원 요구를 거절하였죠.

(나)는 660년 황산벌 전투에서 신라의 김유신이 이끄는 5만 대군과 백제의 계백이 이끄는 5천 결사대가 싸웠으나, 백제가 패하는 상황입니다. 이로써 백제는 황산벌 전투의 패배 및 사비성의 함락으로 660년에 멸망하였습니다. 

따라서 (가)와 (나) 사이 시기에 발생한 사건은 2번, 김춘추는 고구려 보장왕에게 구원 요청을 거절당하자 당으로 건너가 648년 당 태종과 나당 동맹을 결성하여 군사 지원 요구를 수락받았습니다. 

 

 

 

 

6번 - 신라 진성 여왕 재위기 이후에 발생한 사건

 

에디터파닭 제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6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1. 궁예가 국호를 태봉으로 바꾸었다. 

=>  붉은 바지를 입은 도적, 즉 '적고적'의 난은 신라 하대 진성 여왕 때인 896년에 일어났습니다. 원종과 애노 또한 진성 여왕 시기인 889년에 가혹한 세금 수탈 등에 반발하여 사벌주(상주)에서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사건이 일어난 정확한 연도를 모르더라도 진성 여왕의 재위기만 알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었습니다. 진성 여왕의 재위기는 887년에서 897년까지로, 9세기 후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번, 궁예는 901년 후고구려를 세우고 904년에는 국호를 마진으로, 911년에는 국호를 태봉으로 바꾸었습니다.  

 

 

 

 

 

7번 - 통일 신라 장보고 때 사실

 

에디터파닭 제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7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4. 청해진을 중심으로 해상 무역이 전개되었다. 

=> 산둥반도의 적산 법화원을 창건한 인물은 9세기 통일 신라 시대의 인물인 장보고입니다. 장보고는 중국에 법화원이라는 절을 창건하였다는 이야기는 일본 승려 엔닌이 쓴 문헌인 "입당구법순례행기"에 등장하죠.

장보고는 9세기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적을 소탕하고 황해 및 남해의 해상 무역권을 장악하였습니다. 

 

 

 

 

 

8번 - 발해의 특징 찾기

 

에디터파닭 제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8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4. ㄴ, ㄹ

=> 정혜 공주는 발해 제3대 문왕의 둘쨰 딸로 그녀의 무덤은 고구려 문화의 영향을 받아 굴식 돌방무덤 형태로 축조되었습니다. 또한 발해 제2대 무왕은 장문휴를 시켜 당의 산둥반도 등주를 공격하게 하였죠. 인안은 무왕의 연호, 대흥은 문왕의 연호입니다. 따라서 (가) 국가는 발해가 되겠네요.

ㄴ. 솔빈부의 말이 특산물로 거래되었다.

=> 발해는 목축이 발달한 국가로서 솔빈부의 말이 주요 수출품이었습니다. 

ㄹ. 거란도, 영주도 등을 통해 주변국과 교류하였다.

=> 발해는 거란도를 통하여 거란과, 영주도 및 조공도, 발해관을 통하여 당과 교류하였습니다. 더불어 일본도를 통하여 일본과, 신라도를 통하여 통일 신라와 교류하였다는 점도 함께 기억해 주세요. 

 

 

 

 

 

9번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 삼존상

 

에디터파닭 제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9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4.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 삼존상

=> 백제의 미소, 또는 백제인의 미소라고 불리는 불상은 4번, 백제의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 삼존상입니다.

1번은 고려의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 입상, 2번은 통일 신라의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3번은 통일 신라의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 좌상, 5번은 고려의 파주 용미리 석불 입상입니다. 

2번과 3번으로 제시된 통일 신라의 불상이 낯설었지만, 정답으로 빈출 키워드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 삼존상이 제시되어 정답 찾기는 쉬운 문제였습니다.  

 

 

 

 

 

10번 - 고려 광종과 노비안검법

 

에디터파닭 제5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10번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3.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다.

=>  '광덕', '준풍'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고 후주에 토산물을 보내고 서로 사신을 교환하여 교류하였으며, 관료의 위계질서를 수립하기 위해 백관의 공복을 자단비녹의 네 가지 색으로 정한 왕은 고려 광종입니다.

정답은 3번, 고려 광종은 왕권 강화 정책의 하나로 노비안검법을 시행하여 억울하게 노비가 된 자를 분별하였고, 이로써 호족 세력을 약화하고 국가 재정을 확충하려 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