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파닭 제54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41~50번)
안녕하세요. 에디터파닭이에요. 제54회 한능검 심화 해설도 벌써 막바지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한 문제 한 문제 포스팅을 할 때마다 오늘도 뭔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했구나! 하는 생각에 기뻐요.
저의 퇴근 후 미약한 끄적거림이 어떤 누군가에겐 훌륭한 성취가 되는 기회였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 현대사 공부까지 파이팅입니다. 좋아요 꾹! 응원 댓글은 언제든 대환영입니다.
대한 제국을 넘어 일제 강점기, 현대사까지 쭉쭉 달려 볼까요~?
41번 - 독립운동가 허위와 김창숙
정답선지: 4. ㄴ, ㄹ
ㄴ. (가) - 13도 창의군을 이끌고 서울 진공 작전 전개 => 허위
ㄹ. (나) -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 폭탄을 투척한 나석주 의거 지원 => 김창숙
정답해설: 왕산 허위는 정미의병 때 13도 창의군의 군사장으로서 13도 창의군을 이끌고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였습니다. 이후 경기도 양평에서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어 서대문 감옥에서 순국하였죠.
또한 김창숙은 한능검에서 새롭게 제시된 인물인데요, 김창숙은 국내 독립운동계의 분위기를 바꾸기 위하여 이동녕 및 김구와 함께 나석주의 폭탄 거사를 지원하였습니다.
나석주는 신채호가 제공한 폭탄 두 개를 받아 조선 식산 은행과 동양 척식 주식회사 경성 지점에 폭탄을 던지는 의거를 행하였죠.
김창숙은 한능검보다는 공무원 한국사 시험에서 가끔 출제되는 인물인 만큼 출제 비중이 적거나 없던 인물입니다. 새로운 출제 경향이니 기억해 둡시다.
42번 - 범죄즉결례/문화 통치/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 시기 구분
정답선지: 3. (나) - (가) - (다)
정답해설: (가)는 3.1 운동(1919) 이후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표방한 문화 통치를 말하는데요, 문관과 무관 모두 총독에 임명되도록 하였지만 실제로는 문관 총독이 임명되지 않았고, 헌병 경찰 제도가 보통 경찰 제도로 바뀌었으나 오히려 경찰 인원 및 비용이 세 배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나)는 1910년대 무단 통치기에 일제가 한국인을 감시 및 억압하기 위하여 시행한 범죄 즉결례, 즉 즉결 처분권입니다.
(다)는 1936년에 제정된 조선 사상범 보호 관찰령으로 일제가 중.일 전쟁 직전에 사상 통제를 목적으로 일제에 반대하는 모든 사상을 탄압하고자 제정하였습니다.
순서를 찾으면 (나) 범죄 즉결례(1910년대) - (가) 문화 통치(1920년대) - (다) 조선 사상범 보호 관찰령(1930년대)으로 세부 연도를 외우지 않더라도 연대 구분만 할 수 있으면 문제를 풀 수 있었습니다.
43번 - 국민 대표 회의(1923)
정답선지: 1. (가) 국민 대표 회의(1923)
정답해설: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외교 활동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상황에서 앞으로 임시 정부가 펼칠 독립운동의 방략을 논의하기 위하여 개최한 '회의', 바로 국민 대표 회의(1923)입니다.
이승만이 미국 대통령 윌슨에게 국제 연맹의 한국 위임 통치를 청원하는 문서를 보낸 사건, 위임 통치 청원 사건이 발생하고 연통제와 교통국이 일본에 발각되어 해체되자 자금난과 인력난을 겪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국민 대표 회의를 개최하여 독립운동의 새 방향을 찾으려 하였습니다.
그러나 국민 대표 회의의 결과 임시 정부는 신채호 등의 창조파와 안창호 등의 개조파, 그리고 김구 등의 현상 유지파로 나뉘어 회의가 결렬되었습니다. 결국 다수의 독립운동가가 임시 정부를 이탈하였죠.
이후 이승만 대통령이 탄핵되고 제2대 대통령으로 박은식이 선출되었습니다.
국민 대표 회의가 열린 시기가 1920년대 초반인지 후반인지 헷갈렸을 텐데, 이승만이 탄핵되고 박은식이 새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는 점을 기억한다면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44번 - 김병로
정답선지: 4. 대법원장으로 재임하면서 사법 제도의 기초를 다졌다.
정답해설: 낯선 인물, '김병로'가 정답 사료에 정답 선지로 제시되었습니다. 하지만 오답 선지로 제시된 선지들에 모두 빈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소거법으로 정답을 충분히 찾을 수 있었습니다. 낯선 사료가 나오더라도 당황하지 마세요. 정답은 소거법으로도 충분히 찾을 수 있답니다.
김병로는 한능검 시험에서 정답과 관련 없는 사료에 살짝 제시된 적이 있는 인물로서 대법원장으로 재임하며 사법 제도의 기초를 다졌습니다.
김병로는 일본에서 유학한 변호사 1세대로서 일제 강점기에 여러 독립운동가를 변호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미군정청 사법부장 및 대한민국 제1, 2대 대법원장을 역임한 인물입니다. 신간회에서는 회계를 담당하다 중앙 집행 위원장으로서 활동하였죠. 이후 1960년대 3.15 부정 선거를 규탄하는 글을 발표하는 등 1964년 타계하기 직전까지도 왕성한 활동을 하였습니다.
45번 - 조선 혁명군
정답선지: 1. 흥경성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정답해설: 총사령 양세봉이 이끄는 부대로서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영릉가 전투에서 승리한 부대는 1930년대에 활동한 조선 혁명군입니다. 흥경성 전투 외에 영릉가 전투에서도 승전보를 울렸습니다.
만주에서 활동하던 조선 혁명군은 일본군의 공세로 중국군 활동이 위축되자 일부가 중국 관내로 이동하였습니다.
46번 - 1930~1940년대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기
정답선지: 5. 조선 태형령을 관보에 게재하는 총독부 관리
정답해설: 태평양 전쟁은 1941년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발발한 일본과 연합국 사이의 전쟁입니다. 태평양 전쟁이 장기화되자 물자 부족에 시달리던 일제는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끊임없이 수탈하였죠.
국민학교(1941년 통합된 초등 교육 기관), 징병제(1944), 국민 징용령(1939), 황국 신민 서사 암송 강요(1937)는 모두 1930~1940년대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기에 일어난 사실입니다.
정답은 5번, 조선 태형령은 1910년대 일제의 무단 통치기에 발표된 버별ㅇ으로서 조선 총독부는 1912년 갑오개혁 이후 폐지가 논의되던 태형을 공식 법령으로 채택하였습니다.
47번 - 4.19 혁명의 결과~박정희의 혁명 공약
정답선지: 3. 의원 내각제를 골자로 하는 개헌이 이루어졌다.
정답해설: (가)는 1960년 4.19 혁명의 결과 발표된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 성명이며, (나)는 1961년에 일어난 5.16 군사 정변 때 박정희가 내세운 혁명 공약입니다.
두 사건 사이 시기에 일어난 것은 3번 선지로, 4.19 혁명의 결과 새 개헌안이 통과되어 의원 내각제를 골자로 하는 3차 개헌이 이루어졌습니다. 3차 개헌의 결과 의원 내각제뿐만 아니라 양원제 의회 또한 구성되었다는 점도 함께 기억해 주세요.
48번 - 김영삼 정부의 역사 바로세우기 운동
정답선지: 1.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다.
정답해설: 옛 조선 총독부 청사를 철거한 것은 김영삼 정부 때의 사실입니다. 김영삼 정부는 1995년 광복 50주년을 맞이하여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의 일환으로 경복궁 홍례문 구역에 있던 옛 조선 총독부 청사를 철거하였습니다.
조선 총독부 청사의 철거 부재 일부는 천안 독립기념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죠.
선지 중 김영삼 정부 때의 사실은 1번, 김영삼 정부는 1996년에 세계화를 내세우며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습니다.
49번 - 노무현 정부 시기에 있었던 사실
정답선지: 5.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가 처음으로 출범하였다.
정답해설: 질병 관리 본부 출범은 2004년,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정상 회의 주최는 2005년, 행정 중심 복합 도시 건설 시작 또한 참여 정부(노무현 정부, 2003~2008) 때 일입니다.
선지 중 노무현 정부 때 사실은 5번으로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는 노무현 정부의 과거사 정리 사업의 일환으로 출범하였습니다.
50번 - 전두환/노태우/김대중 정부의 통일 노력
정답선지: 3. (나) 전두환 정부 - (가) - 노태우 정부 (다) 김대중 정부
정답해설: 역대 정부의 통일 노력을 보고 어떤 정부 시기인지 구분하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가) 민족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7.7 선언 => 노태우 정부(1988)
(나) 최초의 남북 이산가족 상봉 => 전두환 정부(1985)
(다) 개성 공단 조성 합의 => 김대중 정부(2000), 6.15 남북 공돈 선언의 결과 개성 공단 건설이 합의되었습니다.
보시다가 내용 오류는 댓글로 남겨 주시면 빠르게 수정할게요.
지친 직장인 파닭이에게 응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시험 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