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파닭 제53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41~50번)

벌써 제53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마지막 해설입니다.
고득점 합격을 위해 파닭이와 함께 기출문제 풀이 함 가보자고~!
41번 - 6.10 만세 운동의 결과
정답 선지: 5. 민족 협동 전선인 신간회 결성에 영향을 미쳤다.
=> 융희 황제, 즉 순종의 인산일에 학생들이 격문을 뿌리고 만세를 외친 사건은 1926년에 일어난 6.10 만세 운동입니다.
6.10 만세 운동의 결과 사회주의 진영과 민족주의 진영 사이에 연대 가능성이 제시되었고, 이는 곧 민족 유일당 운동이 전개되는 계기가 되어 1927년 신간회 결성의 배경으로 작용하였죠.
42번 - 중일 전쟁(1937)과 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기
정답 선지: 3. 내선일체를 강조한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이 강요되었다.
=> 일제는 1937년 중일 전쟁을 일으키고 침략 전쟁을 확대하였습니다. 따라서 해당 시기는 1930~1940년대 민족 말살 통치기를 의미합니다.
정답은 3번, 일제는 1930~1940년대 민족 말살 통치기에 황국 신민화 정책을 추진하여 일반인 및 학생에게 황국 신민 서사 암송을 강요하였습니다.
43번 - 김원봉의 조선 의용대 창설
정답 선지: 3. 중국 국민당과 협력하여 조선 의용대를 창설하였다.
=> 키워드는 '의열단 단장'입니다. 의열단은 1919년 만주 지린에서 김원봉의 주도로 결성된 의거 단체이죠.
김원봉은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1938년 최초로 중국 관내에서 결성한 한인 무장 부대인 조선 의용대를 창설하였습니다.
조선 의용대는 대적 심리전이나 포로 심문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44번 - 단성사와 나운규의 아리랑
정답 선지: 1. 나운규의 아리랑이 개봉된 장소
=> 일제 강점기 사회 모습으로 옳은 것을 찾는 문제입니다. 정답은 1번, 단성사는 일제 강점기인 1926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인 나운규의 아리랑이 발표된 극장입니다. 나운규는 영화 아리랑의 제작, 감독뿐만 아니라 주연인 영진 역을 담당하였죠.
기미 독립 선언서가 인쇄된 장소는 보성사로, 보성사는 천도교가 운영하는 인쇄소로 1910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조선 형평사 창립 대회 개최 장소는 진주 대안동, 전형필이 수집한 문화재가 전시된 장소는 간송 미술관, 노인단 대표 강우규 의사가 1919년 일본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을 던진 장소는 서울 남대문 정거장입니다.
정답인 단성사 외에는 시험에 잘 출제되지 않는 낯선 선지이니 한번쯤은 장소를 기억해 주세요. 다음 번에 정답 선지로 출제될 수도 있으니까요~!
45번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시기별 활동
정답 선지: 5. 미군과 연계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다.
=> 제시된 자료는 1941년에 발표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일 선전 성명서입니다. 따라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대일 선전 포고를 한 1941년 이후의 활동으로 옳은 것을 찾아야 합니다.
정답은 5번, 대한민국 임시 정부 산하 부대인 한국광복군은 1945년 미국 전략 정보국(OSS)과 연합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습니다.
해당 문제가 더 어렵게 출제된다면 한국광복군이 1942년 지청천을 총사령관으로, 김원봉을 부사령관으로 두었다는 사실과 1943년 인도 미얀마 전선에서 영국군과 연합 작전을 수행하였다는 사실이 제시될 수도 있겠습니다.
46번 - 제주 4.3 사건과 특별법 제정
정답 선지: 3,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 힌트는 제주도에서 발생한 사건이라는 점과 토벌대가 남한만의 단독 선거 반대 세력을 진압하였다는 사실입니다.
5.10 총선거를 앞둔 1948년 4월, 제주도의 좌익 세력은 남한만의 단독 선거 저지와 통일 정부 수립을 주장하며 봉기하였습니다. 이에 몇 개월에 걸친 토벌대의 진압 끝에 무고한 제주도민이 희생되는 피해가 발생하였죠.
2000년에는 제주 4.3 사건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습니다.
47번 - 이승만 정부 시기의 사실이 아닌 것 찾기
정답 선지: 2. 인민 혁명당 재건위 사건을 조작해 관련자를 탄압하였다.
=> 이승만 정부와 자유당은 1958년 보안법 파동을 일으켜 신국가 보안법을 제정하였으며, 앞서 1952년에는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개헌에 반대하는 야당 의원들의 통근 버스를 헌병대에 연행하는 부산 정치 파동을 일으켰습니다.
따라서 이승만 정부 시기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을 찾아야 하는 문제네요. 정답은 2번, 제2차 인민 혁명당 사건은 제4공화국, 즉 박정희 정부 시기인 1974년의 사실입니다.
박정희 정부는 유신 반대 운동을 전개한 민청학련의 배후 조직으로 인민 혁명당(인혁당) 사건 관계자들을 체포하였고, 이들에게 인민 혁명당을 재건하려 하였다는 혐의롤 씌워 사형 판결을 내리고 사형을 집행하였죠. 이를 제2차 인민 혁명당 사건 또는 인민 혁명당 재건 위원회 사건이라고 합니다.
48번 - 새마을 운동
정답 선지: 1. 포항 제철소 1기 설비가 준공됐어요.
=>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가 1970년에 시행한 농촌 근대화 운동입니다. 농촌에서 시작되어 도시로 확산된 새마을 운동은 농촌 환경 개선과 소득 증대를 목표로 하였죠.
따라서 박정희 정부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을 찾아야 합니다. 정답은 1번, 박정희 정부 시기인 1973년에 포항 종합 제철공장이 건설되어 정부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49번 - 6월 민주 항쟁
정답 선지: 5. 호헌 철폐와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내세웠다.
=>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 시위 도중 치안 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수사관의 고문으로 사망하였으며,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6월 민주 항쟁이 전개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연세대학교 학생 이한열은 6월 민주 항쟁 도중 4.13 호헌 조치 반대 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최루탄을 맞고 사망하였죠.
이러한 6월 민주 항쟁의 결과, 여당 대표 노태우는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6.29 민주화 선언을 발표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번, 6월 민주 항쟁 도중 국민들은 호헌 철폐,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내세워 시위를 전국으로 확산시켰습니다.
50번 - 김대중 정부의 정책
정답 선지: 5. 남북한 교류 협력을 위한 개성 공단 조성 합의
=>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대북 화해 협력을 골자로 하는 햇볕 정책을 추진하고 1999년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을 제정하였으며, 2001년 외환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 인권 위원회를 설립한 정부는 김대중 정부입니다.
김대중 정부는 남북한의 경제 교류 및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자 개성 공단 건설에 합의하였죠. 참고로 개성 공단 건설 협의는 김대중 정부 시기이지만 개성 공단의 완공은 노무현 정부 시기라는 점,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함께 기억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