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파닭 제53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31~40번)
31번 - 임오군란의 결과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정답 선지: 4.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이 체결되었다.
=> 조선 정부의 개화 정책에 대한 반발과 함께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로 발발한 사건은 1882년에 일어난 임오군란입니다. 임오군란은 청의 개입으로 진압되었고, 청은 난의 책임을 물어 흥선 대원군 이하응을 청으로 압송하였죠.
임오군란의 영향으로 옳은 것은 4번, 임오군란의 결과 조선은 난을 진압한 청과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을 체결하여 최초로 외국 상인의 내지 통상을 허용하였습니다.
또한 청은 조선에 재정 고문 마젠타와 외교 고문 스티븐스를 파견하였고, 청의 위안스카이가 이끄는 청군이 조선에 주둔하였다는 점도 같이 기억해 주세요.
32번 - 광혜원(제중원)과 배재학당
정답 선지: 1. 배재 학당에 입학하는 학생
=> 미국인 선교사 알렌의 건의로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병원은 1885년에 건립된 광혜원(제중원)입니다.
따라서 광헤원(제중원)이 설립된 1885년 이후의 사실로 옳은 것을 찾아야 하는데요. 정답은 1번, 배재 학당은 1885년 선교사 아펜젤러가 설립한 개신교 학교입니다.
영선사 파견은 1881년, 갑신정변의 계기가 된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 개최는 1884년, 연무당에서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것은 1876년, 제너럴셔먼호 사건은 1886년에 일어났습니다.
33번 - 제1차 갑오개혁 이후 전개된 사실
정답 선지: 4. ㄷ, ㄹ
=> 군국기무처는 제1차 갑오개혁 떄 설치된 초정부적 정책 의결 기구이며, 공노비와 사노비 폐지, 즉 신분제 폐지는 제1차 갑오개혁의 개혁 내용입니다.
따라서 제1차 갑오개혁이 시행된 1894년 이후의 사실로 옳은 것을 찾아야 하는데요. 정답은 5번, 교육 입국 조서 반포와 재판소 설치 및 사법권 독립은 제2차 갑오개혁의 개혁 내용입니다.
더불어 별기군 창설은 1881년, 한성순보 발행은 1883년부터 1884년까지로 제1차 갑오개혁 이전의 사실입니다.
34번 - 아관 파천과 을미사변
정답 선지: 1. 을미사변이 일어났다.
=> 대군주가 왕태자와 함께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한 사건, 바로 1896년 조선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아관)으로 거처를 옮긴 아관 파천을 이르는 말입니다.
아관 파천의 배경에는 조선 정부의 친러 정책에 위협을 느낀 일본이 친러 정책을 주도한 명성 황후를 경복궁 옥호루 곤녕합에서 시해한 사건인 을미사변(1895)이 있었습니다.
을미사변 이후 신변의 위협을 느낀 고정이 거처를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긴 것이었죠.
35번 - (개정) 조일 통상 장정(1883)의 방곡령 시행
정답 선지: 2. 방곡령 시행에 대한 규정을 명시하였다.
=> 조선의 관세권 일부 회복과 일본에 최혜국 대우를 인정하는 내용을 담은 조약은 1883년에 체결된 (개정) 조일 통상 장정입니다.
앞서 1876년에 체결된 조일 통상 장정에서는 일본 선박에 대한 무항세 및 수출입 상품에 대한 무관세를 적용하였는데요.
7년 뒤인 1883년에 조선은 일본과 방곡령, 최혜국 대우 조항, 관세 부활 조항을 추가한 개정 조일 통상 장정을 체결하였습니다.
36번 - 독립 협회의 독립문 건립
정답 선지: 3. 영은문이 있던 자리 부근에 독립문을 건립하였다.
=> 1896년 서재필 등이 창립한 단체는 독립 협회입니다.
조병식 등 수구 세력은 독립 협회가 입헌 군주제를 지향하며 주도한 의회 설립 운동이 공화제를 수립하려는 것이라고 모함하였죠. 이에 조선 고종은 황국 협회와 군대를 동원하여 만민 공동회를 습격하고, 독립 협회를 강제로 해산하였습니다.
따라서 독립 협회의 활동으로 옳은 것을 찾아야 하는데요. 정답은 3번, 독립 협회는 1897년 중국의 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이 있던 자리에 독립문을 건립하였습니다.
37번 - 을사늑약과 한일 신협약 사이 시기의 사실
정답 선지: 5. 고종이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 평화 회의에 특사를 파견하였다.
=> (가)는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다는 내용과 통감을 둔다는 내용으로 1905년 11월에 체결된 제2차 한일 협약(을사늑약)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을사늑약 체결 결과 초대 통감으로 이토 히로부미가 부임하였죠.
(나)는 통감이 추천한 일본인을 한국 관리로 임명한다는, 즉 차관 통치를 하겠다는 내용으로 1907년 7월에 체결된 한일 신협약(정미7조약)임을 알 수 있습니다.
두 조약 체결 사이에 일어난 사건으로 옳은 것은 5번, 고종은 (가) 을사늑약 체결의 부당함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만국 평화 회의에 이준 이상설, 이위종을 특사로 파견하였고, 이 사건을 계기로 일본에 의하여 강제 퇴위당하였습니다 그 직후 한일 신협약이 체결되었죠.
38번 - 멕시코 숭무 학교 건립
정답 선지: 2. 독립군 양성을 위한 숭무 학교가 설립되었다.
=> 키워드는 '노동 이민자', 그리고 '에네켄 농장'입니다. 일제 강점기인 1910년대 한국인들은 멕시코의 에네켄 농장에서 노동 이민자로서 가혹한 생활을 하였죠.
정답은 2번, 1910년 멕시코 메리다에서는 이근영을 중심으로 독립군 양성을 목표로 하는 숭무 학교가 세워졌습니다.
권업회 창설 및 권업신문 발행은 연해주, 북로 군정서 조직은 북간도, 대동 단결 선언서 작성은 중국 상하이, 2.8 독립 선언서 발표는 일본 도쿄에서 있었던 사실입니다.
39번 -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처단
정답 선지: 3.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 옥중에서 동양평화론을 저술하였으며 1910년 뤼순 감옥에서 순국한 인물은 안중근입니다.
안중근은 1909년 만주 하얼빈에서 한국 침략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였는데요, 이후 일제에 체포된 안중군은 뤼순 감옥에서 동양평화론을 저술하여 남겼으며 이곳에서 순국하였습니다.
안중근이 연해주에서 의병으로 활동하였다는 내용은 공무원 한국사 시험에 가끔 출제되는 내용인데 이번 한능검 시험에서도 넌지시 제시되었네요.
40번 - 일제의 관세 철폐와 물산 장려 운동 전개
정답 선지: 2. 물산 장려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 '조선 관세령 폐지'라는 기사 제목으로 해당 상황이 1923년 일제가 일본 상품을 타국 상품보다 값싸게 판매하기 위하여 관세를 철폐하는 상황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본의 관세 철폐와 더불어 그보다 앞선 1920년에 회사령이 철폐되자, 한국인들은 민족 기업을 육성하여 경제적 자립을 추구하고자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평양에서 조만식 등의 주도로 물산 장려 운동이 시작되었고, 곧 전국적인 운동으로 확산되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