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파닭 제51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41~50번)
안녕하세요. 에디터파닭입니다.
벌써 제51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마지막 해설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해설 바로 시작합니다.
41번 - 3.1 독립 선언서(기미 독립 선언서)
정답 선지: 5. 민족 대표 33인 명의의 독립 선언서가 발표되었다.
=> 일본 도쿄의 유학생들은 조선 청년 독립단을 조직하고 2.8 독립 선언서를 작성하여 발표하였는데, 이는 3.1 운동의 배경으로 작용하였습니다. 이후 국내에서 민족 대표 33인 중 29인이 태화관에 모여 3.1 독립 선언서(기미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였습니다.
42번 - 형평 운동과 조선 형평사
정답 선지: 2. 조선 형평사를 조직하여 사회적 차별에 맞섰다.
=> 진주에서 백정의 권익 보호를 위해 일어난 운동은 형평 운동입니다. 백정 이학찬 등은 조선 형평사를 조직하여 ‘목욕적인 칭호 철폐’ 등을 주장하며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에 맞섰습니다.
43번 - 1940년대 저항 문학가 이육사
정답 선지: 2. 저항시 광야, 절정 등을 발표하였다.
=> 제시된 인물은 일제 강점기에 저항 문학가로 활동한 이육사입니다. 저항시 <광야>, <절정>은 그의 대표 작품입니다.
44번 - 1930년대 조선 혁명군과 한중 연합 작전의 전개
정답 선지: 1. 흥경성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 양세봉이 이끄는 조선 혁명군에 대한 설명으로, 이들은 1930년대에 만주의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영릉가 전투, 흥경성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태로 승리하였습니다.
45번 - 한인 애국단(1931)
정답 선지: 2. 김구를 단장으로 하여 활발한 의열 활동을 펼쳤다.
=>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투탄 의거를 펼친 윤봉길은 한인 애국단 단원입니다. 항일 의거 단체인 한인 애국단은 1931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침체를 극복하고자 김구가 조직하였으며, 단원들이 활발한 의열 활동을 펼쳤습니다.
46번 -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와 신탁 통치 결의
정답 선지: 3.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 미국, 영국, 소련이 전후 문제를 처리하고자 개최한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에서 미국/영국/중국/소련의 4개국이 공동 관리하는 최고 5년 기한의 신탁 통치가 결의되자, 신탁 통치를 둘러싸고 좌익과 우익의 의견이 나뉘었습니다.
좌익은 처음에는 신탁 통치를 반대하였으나 이후 총체적인 지지를 표명하였고, 우익은 신탁 통치를 또 다른 형태의 식민지 지배로 해석하여 적극적으로 반대하였습니다.
47번 - 북한군의 남침과 정전 협상
정답 선지: 2. 흥남 철수 작전이 전개되었다.
=> (가)는 6.25 전쟁 때 북한군의 남침으로 인하여 국군과 유엔군이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한 상황이며, (나)는 소련의 제안에 따라 정전 협상이 진행되는 상황입니다.
(가)와 (나) 사이 시기에는 인천 상륙 작전, 국군과 유엔군의 서울 수복, 압록강 진격, 흥남 철수, 서울 재수복 등이 발생하였습니다. 흥남 철수 작전은 1950년 12월에 일어났습니다.
48번 - 1960년대 박정희 정부 때 경제 상황
정답 선지: 1. 경부 고속 도로가 개통되었어요.
=>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은 1960년대 박정희 정부 때 추진되었습니다. 이로써 도로나 항만 등 사회 간접 자본이 확충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수출 위주의 경공업 발전에 주력하였습니다.
경부 고속 도로는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1970년에 개통되었습니다.
49번 - 5.18 민주화 운동
정답 선지: 5. 신군부의 비상계엄 확대와 무력 진압에 저항하였다.
=> 신군부가 파견한 계엄군에 맞서 시민들이 시민군을 조직하여 대항한 민주화 운동은 1980년에 일어난 5.18 민주화 운동입니다.
5.18 민주화 운동 당시 광주 시민들은 신군부의 비상계엄 확대 조치와 무력 진압에 저항하였고 이 과정에서 윤상원이 사망하였습니다. 윤상원은 한능검 중급 시험에서 단독 선지로 출제된 적 있는 인물입니다.
50번 - 노태우 정부의 북방 외교 추진
정답 선지: 1. 남북 기본 합의서를 채택하였다.
=> 중국과 외교 관계를 맺은 정부는 노태우 정부입니다. 노태우 정부는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공산권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확대하여 소련, 중국 및 동유럽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맺었습니다.
노태우 정부 시기의 통일 노력으로는 제시된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외에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발표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해설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꾹! 눌러 주세요.
시험 잘 보세요. 에디터 파닭이 항상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