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기출문제 해설/한능검 심화

제50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41~50번): 천안 지역사~광주 대단지 사건

by 에디터파닭 2022. 9. 6.
반응형

제50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41~50번)

 

 

41번 - 천안 지역사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1번 기출문제 해설

 

정답 선지: 3. 아우내 장터에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 키워드는 '유관순 열사'입니다. 유관순 열사는 1919년 3.1 운동이 발발하자 충청남도 천안의 아우내 장터에서 독립 만세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어 고문을 받은 끝에 순국하였습니다. 

 

 

 

 

 

42번 - 심훈의 상록수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2번 기출문제 해설

 

정답 선지: 1. 저항시 그날이 오면을 발표하였습니다.

=> 동아일보가 1931년부터 1934년까지 전개한 농촌 계몽 운동인 브나로드 운동을 소재로 계몽 소설 "상록수"를 집필한 인물은 심훈입니다. 심훈은 1930년 기미 독립 선언일을 기념하여 일제 강점기의 대표적인 저항시인 '그날이 오면'을 지어 발표하였습니다. 

 

 

 

 

 

43번 - 조선어 학회의 활동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3번 기출문제 해설

 

정답 선지: 2.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를 제정하였다.

=> 조선말 큰사전(우리말 큰사전) 편찬을 시도한 단체는 1931년에 결성된 국어 연구 단체인 조선어 학회입니다. 조선어 학회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를 제정하였으며, 기관지 "한글"을 발행하였습니다.  

 

 

 

 

 

44번 - 일제 강점기에 있었던 사실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4번 기출문제 해설

 

정답 선지: 5. 독립운동의 방략을 논의하기 위하여 국민 대표 회의가 개최되었다.

=> (가)의 연통제는 1919년 출범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비밀 연락 조직망이며, (나)의 이봉창은 김구가 1931년 상하이에서 조직한 한인 애국단 단원으로서 1932년 도쿄에서 일왕이 타고 가는 마차에 폭탄을 던지는 의겨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따라서 (가), (나) 사이 시기에 발생한 사실로 옳은 것은 5번, 이승만의 위임 통치 청원 사건과 연통제 및 교통국의 해체로 위기를 겪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23년에 상하이에서 국민 대표 회의를 개최하여 독립운동이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고자 하였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국민 대표 회의는 창조파와 개조파, 현상 유지파의 의견 차이로 인하여 결국 결렬되었다는 내용까지 같이 기억해 주세요.  

 

 

 

 

 

45번 - 조소앙의 활동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5번 기출문제 해설

 

정답 선지: 4. 삼균주의를 제창하여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강조하였다.

=> 조소앙은 삼균주의에 기초하여 대한민국 임시 정부 건국 강령을 제정한 인물입니다. 삼균주의는 조소앙이 만든 정치사상으로서 개인과 민족, 국가 간에 완전한 균등을 실현하기 위하여 정치, 경제, 교육적 균등이 필요하다는 사상입니다.   

 

 

 

 

 

46~47번 1차 개헌과 2차 개헌 시기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6~47번 기출문제 해설

 

자료 분석: (가)는 양원제와 대통령 직선제를 기본 내용으로 하는 1차 개헌(발췌 개헌, 1952)의 내용이며, (나)는 초대 대통령에 한하여 중임 제한을 철폐하는 2차 개헌(사사오입 개헌, 1954)의 내용입니다.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6번 기출문제 해설

 

정답 선지: 2. (가) - 계엄령 아래 국회에서 기립 표결로 통과되었다.

=> 이승만 정부는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개헌에 반대하는 야당 의원들을 연행하는 부산 정치 파동을 일으킨 뒤, 부산에서 기립 표결로 1차 개헌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7번 기출문제 해설

 

정답 선지: 4. 판문점에서 6.25 전쟁 정전 협정이 조인되었다.

=> 1차 개헌과 2차 개헌 사이 시기인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6.25 전쟁의 정전 협정이 조인되었습니다.

시기가 가까운 5번 선지 내용이 헷갈릴 수 있었는데요, '한미 상호 방위 원조 협정'은 6.25 전쟁 이전인 1950년 1월 26일에 발효되었으며, 6.25 전쟁의 정전 협정 체결 이후인 1953년 10월 1일에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되었습니다. 두 협정과 조약의 이름이 비슷하니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48번 - 김대중 정부 시기의 사실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8번 기출문제 해설

 

정답 선지: 4.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이 실시되었다.

=> 한일 월드컵 개최는 2002년 김대중 정부 시기의 사실이며, 김대중 정부 시기인 1999년에는 김영삼 정부 시기에 초래된 외환 위기로 어려워진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을 제정하였습니다.  

 

 

 

 

 

49번 - 4.19 혁명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9번 기출문제 해설

 

정답 선지: 3. 대학 교수단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시위 행진을 벌였다.

=> 대전의 3.8 민주 의거, 대구의 2.28 민주 운동, 마산의 3.15 의거는 1960년에 발발한 4.19 혁명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4.19 혁명은 제4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과 자유당이 저지른 3.15 부정 선거를 계기로 발발하였죠. 당시 장면은 민주당의 부통령 후보로 선거에 출마하였습니다. 

4.19 혁명 당시 대학교수단은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하며 시국 선언을 하고, '학생의 피에 보답하라'는 현수막을 내건 채 시위 행진을 벌였습니다.

 

 

 

 

 

50번 - 광주 대단지 사건

 

에디터파닭 제5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50번 기출문제 해설

 

정답 선지: 4. 남북 조절 위원회를 설치하여 통일 방안을 논의하였다.

=> 광주 대단지 사건은 1971년 경기도 광주 주민 5만여 명이 박정희 정부의 계획 없는 도시 정책과 졸속적인 행정에 반발하여 도시를 점거한 사건입니다. 따라서 박정희 정부의 통일 정책으로 옳은 것을 찾아야 하겠네요.

정답은 4번, 박정희 정부는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에서 합의한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의 평화 통일 3대 원칙을 실현하고자 남북 조절 위원회를 설치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