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기출문제 해설/한능검 심화

제51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신석기 시대~공산 전투

by 에디터파닭 2022. 9. 7.
반응형

에디터파닭 제51회 한능검 심화 

기출문제 해설(1~10번)

 

안녕하세요. 에디터파닭이에요.

한능검 기출문제 풀이를 꾸준히 블로그에 올렸더니 이제 시험이 있는 주에는 방문자 수가 꽤나 늘었네요 💃💃 얏호 꾸준함이 뭐 하나쯤은 파닭이에게 가져다 주었어요!

시험 때마다 기출 문제 해설 만드는 게 시간도 많이 들고 때론 귀찮기도 하지만 많은 분들이 찾아주셔서 느끼는 기쁨이 귀찮음을 이겼습니다!

조회수나 방문자 수가 많이 나온다고 해서 없던 떡이 생기는 건 아니지만 기분은 좋네요.🤭🤭🤭

​51회 한능검 해설,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


1번 - 신석기 시대 생활 모습

 

에디터파닭 제5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1.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실을 뽑았다

=> "농경과 정착 생활이 시작"되고 대표 유물로 "덧무늬 토기", "갈돌과 갈판" 등을 제작한 시대는 신석기 시대입니다. 가락바퀴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로서 가락바퀴로 실을 뽑아 옷이나 그물을 만들었습니다.

 

 

2번 - 부여의 풍습과 제천 행사

에디터파닭 제5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2번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1.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 지린성 쑹화강 유역에 위치하며 사출도와 순장 풍습이 있던 나라는 부여입니다. 영고는 부여의 제천 행사이지요.

 

 

3번 - 신라 지증왕의 업적

 

에디터파닭 제5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3번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2.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복속시켰다.

​=> '신라'라는 국호를 사용하고 '왕' 칭호를 사용한 왕은 신라 지증왕입니다. 지증왕은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과 부속 도서를 복속하였습니다.

 

 

4번 - 백제 무령왕릉의 특징

 

에디터파닭 제5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4번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5.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아 벽돌로 축조하였다.

​=> 백제의 고분 중 피장자, 즉 무덤 주인과 축조 연대가 확인된 유일한 무덤은 백제 무령왕릉입니다. 중국 남조의 영향으로 벽돌로 축조된 벽돌 무덤입니다. 무덤 안에서 진묘수(석수) 및 매지권, 금동제 신발 등 여러 유물이 함께 출토되었습니다.

 

 

5번 - 검모잠과 안승의 고구려 부흥 운동 시기

 

에디터파닭 제5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5번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4. (라) 평양성 함락(668)~매소성 전투(675) 사이 시기

​=> 검모잠은 고구려 부흥 운동을 이끈 인물이므로, 제시된 사건은 고구려 멸망 이후에 일어났습니다. 고구려는 668년 나당 연합군에게 평양성이 함락되어 멸망하였습니다. 매소성 전투는 신라와 당이 싸워 신라가 승리한 전투로서 신라는 매소성 전투 이후 기벌포 전투에서도 승리하며 당을 한반도에서 몰아 냈습니다.

 

 

6번 - 통일 신라 의상과 화엄일승법계도

 

에디터파닭 제5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6번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4. 화엄일승법계도를 지어 화엄 사상을 정리하였다.

​=> 당에 유학하였으며 부석사와 관련 있는 인물은 화엄일승법계도를 지어 화엄 사상을 정리한 의상입니다. 의상은 통일 신라 시대에 활동한 승려로 우리나라에 화엄종을 개창하였습니다. 원효의 해골물 설화에 등장하는 인물이기도 합니다.

돌을 공중에 띄워 의상을 도운 선묘 여인의 이야기는 부석사의 이름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요, 부석사의 '부'는 뜰 부, '석'은 바위 석으로 선묘 여인과의 이야기를 절 이름에서 떠올릴 수 있습니다.

 

 

7번 - 신라 하대 농민 봉기 발생

 

에디터파닭 제5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7번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2. 원종과 애노가 사벌주에서 봉기하였다.

​=> 신라 하대에는 귀족들의 사치와 향락으로 나라가 혼란하였습니다. 이에 진성 여왕 때에는 원종과 애노의 난 등 전국에서 민란이 발생하였습니다.

6두품 출신 최치원은 당에 유학을 떠났다가 돌아와 진성 여왕에게 개혁안인 시무 10여 조를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8번 - 발해의 지방 행정 제도

 

에디터파닭 제5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8번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3. 5경 15부 62주 지방 행정 제도를 갖추었다.

​=> 전성기인 선왕 때 당으로부터 '바다 동쪽의 융성한 국가'라는 의미의 해동성국이라 불린 국가는 발해입니다. 발해는 5경 15부 62주의 지방 행정 제도를 갖추었습니다.

 

 

9번 - 익산 미륵사지 석탑

에디터파닭 제5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9번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3. 익산 미륵사지 석탑

​=> 목탑 양식으로 제작된 석탑으로 탑 내부에서 사리봉영기가 발견된 문화유산은 익산 미륵사지 석탑입니다. 특히 탑을 공부할 때 앞의 지역명이 포함된 정식 명칭을 익혀 두면 정답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10번 - 고려 태조의 후삼국 통일 과정

 

에디터파닭 제5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0번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정답 선지: 4. 신숭겸이 공산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 고려 태조 왕건의 후삼국 통일 과정은 단골 출제 주제입니다. (가)는 후고구려의 궁예가 폭정을 휘두르자 신하들이 왕건을 왕으로 추대하는 상황이며, (나)는 아들 신검에 의해 금산사에 유폐되었던 후백제의 견훤이 탈출하여 왕건에게 항복하는 상황입니다.

두 사건 사이에 발생한 일은 고려가 후백제와 싸워 신숭겸이 전사하는 등 대패한 927년의 공산 전투입니다.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들, 그리고 좋아요 꾹! 눌러주신 분들! 이번 시험에서 100점 획득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시험 잘 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