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디터파닭입니다.
이번에는 서울시 공무원 한국사 기출문제 해설을 들고 찾아왔어요.
해설에서 오탈자나 오류를 발견하신 분은 댓글로 신고해 주세요.
더 많은 수험생을 위해 확인하는 대로 빠르게 수정하겠습니다.
에디터파닭이 여러분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2022 서울시 9급(2월) 기출문제 해설은 A책형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1번 - 윤관의 별무반 조직
🐥자료분석: <보기>는 고려사절요의 일부 내용으로, 고려의 윤관이 오랑캐(여진)에게 패한 원인을 두고 오랑캐는 기병인 데 비해 고려군은 보병이라 대적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며 고려 숙종에게 별무반 편성을 건의하는 내용이다.
🐥정답선지: 3. 별무반
=> 고려 숙종은 윤관의 건의에 따라 기병의 신기군, 보병의 신보군, 승려의 항마군으로 편성된 별기군을 조직하여 여진에 대항하도록 하였다.
🐥오답해설: 1번, 광군은 고려 정종 때 거란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하여 청천강 유역에 조직한 특수군이다.
2번, 도방은 고려 무신 집권기에 경대승이 신변 보호를 위하여 설치한 사병 조직이다.
4번, 삼별초는 고려 최우 집권기에 조직되어 최씨 정권의 사병으로 기능하였으며, 국왕의 시위(호위)나 도적 체포도 담당하였다.
12번 - 조선 시대 천주교 전파 과정
🐥정답선지: 3. ㄷ - ㄱ - ㄴ- ㄹ
=> ㄷ. 조선 광해군 때 이수광은 지봉유설에서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를 소개하였다.
ㄱ. 조선 정조 7년(1783) 이승훈은 아버지를 따라 간 북경(베이징)에서 최초로 서양 신부에게 영세(세례)를 받고 돌아왔다.
ㄴ. 신해박해: 조선 정조 15년(1791) 진산에 살던 천주교 신자 윤지충은 모친상을 치르던 중 신주를 불사르고 천주교 의식을 행하다가 고발되었다(진산 사건). 그 결과 정부는 윤지충 등 핵심 인사 몇을 처결하고 척사학교를 발표하였다.
ㄹ. 신유박해: 정조 사후에 대규모 천주교 탄압이 가해지자 조선 순조 1년(1801) 천주교 신도 황사영은 북경의 프랑스인 주교에게 군대를 동원하여 조선에서의 신앙과 포교의 자유를 보장받게 해 달라는 서신을 보내려다 발각되었다(황사영 백서 사건). 그 결과 많은 양반 계층이 교회를 떠났다.
13번 - 국가 총동원법(1938)
🐥자료분석: <보기>는 일제가 1938년 4월에 공포하여 5월 5일부터 시행한 국가 총동원법의 일부이다.
🐥정답선지: 2. 헌병 경찰 제도를 실시하였다.
=> 일제가 헌병 경찰 제도를 시행한 시기는 1910년대(무단 통치기)이다.
🐥오답해설: 1번, 일제는 1943년에 학도 지원병제, 1944년에 징병제를 시행하였다.
3번, 일제는 1939년에 국민 징용령을 공포하였다.
4번, 일제는 1944년 여자 근로 정신령(여성 정신대 근로령)을 공포하였다.
14번 - 송시열의 기축봉사와 북벌론
🐥자료분석: <보기>는 송시열이 조선 효종에게 올린 기축봉사의 일부로, 송시열은 이 글에서 임진왜란 때 명나라가 조선을 구해 준 은혜인 '재조지은'을 언급하며 북벌론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정답선지: 4. 청의 문물 수용을 건의하였다.
🐥오답해설: 송시열은 대표적인 북벌론자로서, 청에 대한 적개심과 문화적 우월감을 바탕으로 북벌론을 주장하였으므로 청의 문물을 수용하자는 의견과는 거리가 멀다.
15번 - 박은식의 한국통사
🐥자료분석: <보기>의 글은 민족주의 사학자 박은식의 한국통사 일부이다.
🐥정답선지: 2. 식민 사학 중 정체성론의 근거를 무너뜨리는 데에 기여하였다.
=> 식민사관의 정체성론을 비판한 인물은 사회 경제 사학자 백남운이다.
🐥오답해설: 1번, 박은식은 유교구신론을 지어 유교 개혁을 주장하였다.
3번, 박은식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참여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 제2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4번, 박은식은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저술하여 일제 강점기에 전개된 한국의 독립운동사를 정리하였다.
16번 - 1880년대에 발생한 사건 순서
🐥정답선지: 3. ㄴ - ㄱ - ㄷ - ㄹ
=> ㄴ. 강화도 조약(조일 수호 조규, 1876) - ㄱ. 임오군란(1882) - ㄷ. 갑신정변(1884) - ㄹ. 톈진 조약(1885)
ㄹ. 톈진 조약은 갑신정변의 결과 청과 일본 사이에 체결되었으므로 정확한 체결 연도를 모르더라도 인과 관계를 유추하여 정답을 찾을 수 있다.
17번 - 고려 시대 유학자의 활동
🐥정답선지: 1. ㄱ
=> ㄱ. 고려 충선왕은 원에 만권당을 설치하여 이제현, 백이정 등 고려의 학자들과 염복, 요수, 조맹부 등 중국의 학자들이 만권당에서 교유하도록 하였다.
🐥오답해설: ㄴ, ㄷ. 고려 공민왕이 중영한 성균관의 대사성을 지낸 인물은 이색이며, 안향은 충렬왕 때 고려에 성리학을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ㄹ. 고려 공민왕 때 역사서 사략을 저술한 인물은 이제현이다. 정몽주는 고려 말에 활동한 온건파 사대부로서 개성의 선죽교에서 이방원에게 피살되었다.
18번 - 남북 기본 합의서(1991)
🐥자료분석: <보기>는 노태우 정부 시기인 1991년에 발표된 남북 기본 합의서로, 남북한 관계를 '잠정적 툭수 관계'로 설정하였다.
🐥정답선지: 1. ㄱ. ㄴ
=> ㄱ. 노태우 정부 시기인 1991년에 남북한이 유엔(UN)에 동시 가입하였다.
ㄴ. 노태우 정부 시기인 1988년에 서울 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오답해설: ㄷ. 김영삼 정부 시기인 1993년에 금융 실명제가 시행되었다.
ㄹ. 전두환 정부 시기인 1987년에 여당 대통령 후보 노태우가 직선제 개헌을 수용한다는 내용의 6.29 선언(6.29 민주화 선언)을 발표하였다.
19번 - 의열단의 활동
🐥자료분석: 김원봉의 주도로 1920년대 국내와 상하이를 중심으로 의거 활동을 전개한 단체는 의열단(1919)이다.
🐥정답선지: 3.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열린 일본군의 상하이 점령 축하 기념식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군을 살상하였다.
=> 1932년 한인 애국단 단원 윤봉길은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의거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인 애국단은 1931년 김구가 주도하여 결성하였다.
🐥오답해설: 1번, 의열단 단원 김상옥은 1923년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져 큰 피해를 입혔다.
2번, 의열단 단원 나석주는 1926년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서 투탄 의거를 펼쳤다.
4번, 의열단 단원 김익상은 1921년 조선 총독부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20번 - 비변사의 변천 과정
🐥자료분석: <보기>는 효종실록에 실린 김익희의 상소 내용으로, 조선 중종 때 삼포왜란을 계기로 임시 기구로서 처음 설치되었던 비변사가 점차 최고 회의 기구가 되어 권력을 휘두르고, 의정부와 6조가 유명무실해진 현실을 묘사하고 있다.
🐥정답선지: 2. 고종 대에 폐지되었다.
=> 조선 고종 때 흥선 대원군은 비변사의 권한을 축소 및 혁파시켜 군무만을 담당하게 하였고, 삼군부를 부활시켜 군국 기무를 전담하게 함으로써 사실상 비변사를 혁파하였다.
🐥오답해설: 1번, 4번, 비변사는 조선 선조 때 발발한 임진왜란을 계기로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 회의 기구가 되었다.
3번, 비변사는 조선 중종 떄 삼포 왜란을 계기로 임시 기구로서 처음 설치되었다.